🎨
스프링 MVC
  • Initial page
  • 웹 애플리케이션 이해
    • 웹 서버,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
    • 서블릿
    • 동시 요청 - 멀티 쓰레드
    • HTML, HTTP API, CSR, SSR
    • 자바 백엔드 웹 기술 역사
  • 2. 서블릿
    • 프로젝트 생성
    • Hello 서블릿
    • HttpServletRequest - 개요
    • HttpServletRequest - 기본 사용법
    • HTTP 요청 데이터 - 개요
    • HTTP 요청 데이터 - GET 쿼리 파라미터
    • HTTP 요청 데이터 - POST HTML Form
    • HTTP 요청 데이터 - API 메시지 바디 - 단순 텍스트
    • HTTP 요청 데이터 - API 메시지 바디 - JSON
    • HttpServletResponse - 기본 사용법
    • HTTP 응답 데이터 - 단순 텍스트, HTML
    • HTTP 응답 데이터 - API JSON
    • Summary
  • 3. 서블릿, JSP, MVC 패턴
    • 회원관리 웹 애플리케이션 요구사항
    • 서블릿으로 회원 관리 웹 애플리케이션 만들기
    • NoClassDefFoundError(WebServlet) TroubleShooting
    • NumberFormatException TroubleShooting
    • HTML에서 한글이 보이지 않는 이슈 TroubleShooting
    • JSP로 회원 관리 웹 애플리케이션 만들기
    • MVC 패턴 - 개요
    • MVC 패턴 - 적용
    • MVC 패턴 - 한계
    • Summary
  • 4. MVC 프레임워크 만들기
    • 프론트 컨트롤러 패턴 소개
    • 프론트 컨트롤러 도입 - v1
    • View 분리 - v2
    • Model 분리 - v3
    • 단순하고 실용적인 컨트롤러 - v4
    • ⭐️유연한 컨트롤러1 - v5(어댑터 도입, 인터페이스3 처리)
    • ⭐️유연한 컨트롤러2 - v5(어댑터 도입, 인터페이스3,4 처리)
    • Summary
  • 5. 스프링 MVC - 구조 이해
    • ⭐️스프링 MVC 전체 구조
    • 핸들러 매핑과 핸들러 어댑터
    • 뷰 리졸버
    • 스프링 MVC - 시작하기
    • @Controller 등장!⭐️
    • 스프링 MVC - 컨트롤러 통합
    • 스프링 MVC - 실용적인 방식
    • Summary
  • 6. 스프링 MVC - 기본 기능
    • 프로젝트 생성
    • 로딩 간단히 알아보기
    • 요청 매핑
    • 요청 매핑 - API 예시
    • HTTP 요청 - 기본, 헤더 조회
    • HTTP 요청 파라미터 - 쿼리 파라미터, HTML, Form
    • HTTP 요청 파라미터 - @RequestParam
    • HTTP 요청 파라미터 - @ModelAttribute
    • HTTP 요청 메시지 - 단순 텍스트
    • HTTP 요청 메시지 - JSON
    • 응답 - 정적 리소스, 뷰 템플릿
    • HTTP 응답 - HTTP API, 메시지 바디에 직접 입력
    • HTTP 메시지 컨버터
    • 요청 매핑 핸들러 어댑터 구조
    • Summary
  • 7. 스프링 MVC - 웹 페이지 만들기
    • 프로젝트 생성
    • 요구사항 분석
    • 상품 도메인 개발
    • 상품 서비스 HTML
    • 상품 목록 - 타임리프
    • 상품 상세
    • 상품 등록 폼
    • 상품 등록 처리 - @ModelAttribute
    • 상품 수정
    • PRG Post/Redirect/Get
    • RedirectAttributes
    • Summary
  • What's Next?
Powered by GitBook
On this page

Was this helpful?

  1. 3. 서블릿, JSP, MVC 패턴

MVC 패턴 - 한계

MVC 패턴을 적용한 덕분에 컨트롤러의 역할과 뷰를 렌더링 하는 역할을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다. 특히 뷰는 화면을 그리는 역할에 충실한 덕분에, 코드가 깔끔하고 직관적이다. 단순하게 모델에서 필요한 데이터를 꺼내고, 화면을 만들면 된다. 그런데 컨트롤러는 딱 봐도 중복이 많고, 필요하지 않는 코드들도 많이 보인다.

MVC 컨트롤러의 단점 : 중복

  1. 포워드 중복 View로 이동하는 코드가 항상 중복 호출되어야 한다. 물론 이 부분을 메서드로 공통화해도 되지만, 해당 메서드도 항상 직접 호출해야 한다.

RequestDispatcher dispatcher = request.getRequestDispatcher(viewPath);
dispatcher.forward(request, response);

2. ViewPath 중복 prefix: /WEB-INF/views/ suffix: .jsp

String viewPath = "/WEB-INF/views/new-form.jsp";

3. 사용하지 않는 코드 다음 코드를 사용할 때도 있고, 사용하지 않을 때도 있다. 특히 response는 현재 코드에서 사용되지 않는다. 그리고 HttpServletRequest , HttpServletResponse 를 사용하는 코드는 테스트 케이스를 작성하기도 어렵다.

  HttpServletRequest request, HttpServletResponse response

4. 공통 처리가 어렵다. 기능이 복잡해질수록 컨트롤러에서 공통으로 처리해야 하는 부분이 점점 더 많이 증가할 것이다. 단순히 공통 기능을 메서드로 뽑으면 될 것 같지만, 결과적으로 해당 메서드를 항상 호출해야 하고, 실수로 호출하지 않으면 문제가 될 것이다. 그리고 호출하는 것 자체도 중복이다.

해결 방법

컨트롤러 호출 전에 먼저 공통 기능을 처리해야 한다. => 프론트 컨트롤러(Front Controller) 패턴 도입! 스프링 MVC 프레임워크의 핵심도 바로 이 프론트 컨트롤러에 있다.

PreviousMVC 패턴 - 적용NextSummary

Last updated 3 years ago

Was this helpfu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