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IV 와 성능 최적화
예전에 JPA의 Entity Manager = Hibernate의 session
Hibernate가 먼저 생겨나고 후에 JPA가 생겼다.
JPA는 언제 DB connection을 가져오고 언제 반환할까? DB와 연결이 되야 데이터 저장, 조회, 수정 등을 하기 때문에 영속성 컨텍스트와 DB connection은 굉장히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보통 service 에서 트랜잭션 시작(@Transactional)한다.
OSIV(Open Session In View) : 트랜잭션이 끝나도 영속성 컨텍스트와 DB connection을 살려둔다.(사용자에게 응답이 나갈 때까지) API => API가 사용자에게 반환될 때까지 뷰 => 뷰가 랜더링될 때까지.
트랜잭션이 끝나도 영속성 컨텍스트와 DB connection이 유지되기 때문에 지연 로딩이 가능했던 것이다.
장점
엔티티 적극 활용 => 지연로딩 가능
단점
너무 오랜시간동안 데이터베이스 커넥션 리소스를 사용하기 때문에, 실시간 트래픽이 중요한 애플리케이션에서는 커넥션이 모자랄 수 있다. 이것은 결국 장애로 이어진다. ex) 예를 들어서 컨트롤러에서 외부 API를 호출하면 외부 API 대기 시간 만큼 커넥션 리소스를 반환하지 못하고, 유지해야 한다.
OSIV OFF
트랜잭션이 끝나기 전에 지연 로딩을 강제로 호출해 두어야 한다.
프록시 객체 초기화하려고 하는데 영속성 컨텍스트 날아가버리면 LazyInitializationException 발생한다!!! =>따라서 컨트롤러가 아니라 트랜잭션으로 들고가야 한다! (service가 끝나면 영속성 컨텍스트도 끝나서 프록시 객체 초기화 할 수 없다는 Exception 발생)
Solution1 비즈니스 로직 관련 service와 쿼리 최적화 관련 service를 분리해서 생성 => service 두개 모두 트랜잭션 유지하면서 지연로딩 사용 가능!
OrderQueryService를 만든다.(쿼리용 service 생성, 별도 분리) 컨트롤러에서 트랜잭션 안 쓰기 때문에 서비스 계층에 쿼리 전용 패키지를 생성, API 관련 쿼리 작성.
패키지 : 핵심 비즈니스랑 단순 화면핏/API에 필요한 쿼리 분리한다.
애플리케이션이 작은 경우 : 그냥 Service 계층에서 처리 가능 하지만 크고 복잡한 경우 : 커맨드(비즈니스)와 쿼리(비즈니스X) 분리!
컨트롤러는 아무 데서나 할 수 있기 때문에 지연 로딩 특별히 신경쓰지 않는다.
코딩만 생각하면 open-session-in-view 를 true로 하는 것이 맞다. JPA가 자동화. =>하지만 성능 생각하면 꺼야 한다!!
강사님 : 고객 요청을 실시간으로 API ++ 경우, open-session-in-vie = false(끄고), ADMIN처럼 커넥션을 많이 사용하지 않는 경우는 OSIV 켠다!
컨트롤러,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도메인, 리포지토리, 등 한 단계 더 만들어도 된다.
보통 비즈니스 로직은 특정 엔티티 몇 를 등록하거나 수정하는 것이므로 성능이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런데 복잡한 화면을 출력하기 위한 쿼리는 화면에 맞추어 성능을 최적화 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그 복잡성에 비해 핵심 비즈니스에 큰 영향을 주는 것은 아니다. 그래서 크고 복잡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한다면, 이 둘의 관심사를 명확하게 분리(비즈니스, 쿼리)하는 선택은 유지보수 관점에서 충분히 의미 있다.
단순하게 설명해서 다음처럼 분리하는 것이다.
OrderService OrderService: 핵심 비즈니스 로직 OrderQueryService: 화면이나 API에 맞춘 서비스 (주로 읽기 전용 트랜잭션 사용)
Last updated